학부연구생

Ubuntu 서버 종료 및 재시작 절차

2024. 1. 25. 21:02
목차
  1. 1. 서버 종료
  2. 2. 서버 재시작
  3. 상황 1: connect to host O.O.O.O port 2202: Network is unreachable
  4. 상황 2: iDRAC virtual console 사용
  5. 상황 3: The operation couldn’t be completed. Unable to locate a Java Runtime that supports javaws
  6. 상황 4: 서버 접속 이후
반응형

교내 정전으로 인해 서버를 종료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였고, 따라서 이참에 서버 종료 및 재시작 과정에 대해서 정리해 보려고 한다.

서버는 Dell사의 PowerEdge t640 Tower형 제품. https://dell.com/ko-kr/shop/ipovw/poweredge-t640

 

PowerEdge T640 타워 서버

PowerEdge T640 랙 장착형 타워 서버는 비즈니스 분석 및 인텔리전스, ERP, CRM, 의료 영상 등과 같은 데이터 센터 워크로드를 위해 설계되었습니다.

www.dell.com

 

OS: Ubuntu 20.04

 

 

 

1. 서버 종료

크게 3가지 방법이 있다.

  1. 직접 서버의 전원을 끄는 방법: 권장되지 않는 방법이다. 서버의 전원을 갑자기 끄면 데이터 손실, 파일 시스템 손상, 그리고 운영 체제나 서버가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.
  2. Linux 기반 명령어를 사용해서 종료하는 방법: sudo shutdown -h now
  3. iDRAC를 사용해서 원격으로 종료하는 방법: iDRAC는 Integrated Dell Remote Access Controller의 약자로, Dell 서버의 내장된 하드웨어 관리 솔루션이다. 이 기술은 서버 관리자가 시스템의 물리적 위치에 관계없이 서버를 모니터링, 관리, 업데이트, 문제 해결 및 복구할 수 있게 해주는 원격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.

이 중 2번이 제일 간편하다고 생각해서 2번으로 서버를 종료했다.

 

 

 

2. 서버 재시작

여기서 문제가 발생했다. 직접 서버에서 Power 버튼을 눌러서 재시작한 다음, ssh 명령어로 서버에 접속하려고 하였으나 접속이 되지 않았다.

상황 1: connect to host O.O.O.O port 2202: Network is unreachable

  • iDRAC는 잘 동작하는 것을 보니, 서버와 연결된 네트워크 선이 문제일 가능성이 있겠다고 판단했다.
  • 확인 결과 Iptime 공유기와 연결된 부분이 헐겁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, 다시 연결했다.

상황 2: iDRAC virtual console 사용

  • 상황 1 에서 Iptime 공유기 선을 제대로 연결한 뒤 ssh로 접속을 시도하였으나, “connect to host O.O.O.O port 2202: Connection refused” 오류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.
  • 따라서 iDRAC에서 제공하는 virtual console 기능을 이용해서 서버를 재시작해보기로 하였다.
  • 접속 방법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였음: https://www.dell.com/support/kbdoc/ko-kr/000179797/dell-poweredge-idrac-가상-콘솔#iDRACURL
    • https://[iDRAC_IP]/console
    • 이때 주의할 점은, FireFox Browser를 사용해야 한다. Chrome 브라우저의 경우 접속을 완전히 차단해 버려서, 접속이 불가능하다.
  • 접속 이후 “Launch virtual console”을 선택하면 그 결과로 “viewer.jnlp” 파일이 download된다. 이 파일을 실행한다. 실행 이후 root user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.

상황 3: The operation couldn’t be completed. Unable to locate a Java Runtime that supports javaws

  • 상황 2에서 다운로드된 “viewer.jnlp” 파일을 열려고 할 때 발생한 오류이다.
    • 왼쪽 더블클릭, 오른쪽 클릭 후 Open, 오른쪽 클릭 후 Open with JavaLauncher 세 방법 모두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함
    • MacOS에 설치된 JDK 17 → 11 → 1.8로 버전을 변경해보았으나, 여전히 동일한 오류가 발생함
  • stackoverflow 검색 결과, JRE 1.8을 설치한 뒤 .zshrc에 환경 변수를 설정하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는 것을 확인했다.
    • JDK에는 JRE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, 속는 셈 치고 JRE 1.8을 설치하였다.
    • https://www.java.com/ko/download/manual.jsp
    • 이후 환경 변수에 JRE 1.8 경로를 추가했다.
export JAVA_HOME=/Library/Internet\\ Plug-Ins/JavaAppletPlugin.plugin/Contents/Home
export PATH=$JAVA_HOME/bin:$PATH
  • 그 결과 우클릭으로 Open 을 누르면 “viewr.jnlp” 파일이 정상적으로 실행된다!

 

상황 4: 서버 접속 이후

서버 접속 이후 systemctl reboot 명령어로 재부팅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로그를 발견했다. 아마 서버와 연결된 외장하드가 정상적으로 마운트되지 않아서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추측하였다. 

 

 

https://askubuntu.com/questions/1095522/failed-to-start-file-system-check-on

위 링크를 참고해서, sudo fsck -y /dev/sda 명령어를 실행하였다. 약 30분 이상 소요된 것 같다.

 

https://phoenixnap.com/kb/fsck-command-linux#:~:text=The%20fsck%20(File%20System%20Consistency,is%20required%20to%20use%20fsck.

fsck 명령어는 "File System Consistency Check"의 약자로, 리눅스와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에서 파일 시스템의 오류를 검사하고, 가능한 경우, 그 오류를 수정하는 데 사용된다. 우분투를 포함한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할 수 있다.

 

sudo fsck -y /dev/sda 명령어 실행 이후, mount -a 를 통해 /etc/fstab에 기술된 모든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한 뒤, systemctl reboot 명령어로 재부팅하였다.

 

그 결과 정상적으로 서버가 재부팅되었으며, 이후 ssh 명령으로 서버에 접속할 수 있었다!(해결)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

'학부연구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Ubuntu 20.04] MongoDB 설치 및 기본 명령어  (0) 2023.06.13
Ubuntu] Screen 명령어  (0) 2023.06.09
2. 우분투(ubuntu) 서버에 mongodb 설치  (0) 2021.10.16
1. 우분투(ubuntu) 서버에 mysql 설치 및 각종 에러 해결 방법  (0) 2021.10.15
  1. 1. 서버 종료
  2. 2. 서버 재시작
  3. 상황 1: connect to host O.O.O.O port 2202: Network is unreachable
  4. 상황 2: iDRAC virtual console 사용
  5. 상황 3: The operation couldn’t be completed. Unable to locate a Java Runtime that supports javaws
  6. 상황 4: 서버 접속 이후
'학부연구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Ubuntu 20.04] MongoDB 설치 및 기본 명령어
  • Ubuntu] Screen 명령어
  • 2. 우분투(ubuntu) 서버에 mongodb 설치
  • 1. 우분투(ubuntu) 서버에 mysql 설치 및 각종 에러 해결 방법
나른한 찰리
나른한 찰리
Moojun's Storage나른한 찰리 님의 블로그입니다.
반응형
나른한 찰리
Moojun's Storage
나른한 찰리
전체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83)
    • 포트폴리오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(1)
    • 멘질멘질] 2023 졸업 프로젝트 (16)
    • 학부연구생 (5)
    • Spring Boot (17)
      • Test Code (10)
    • Amazon Web Services(AWS) (3)
    • Ubuntu Server (1)
    • RDB (6)
    • git (1)
    • 오류 (9)
    • MacOS (4)
    • python library (5)
    • 기타 (8)
    • 프로그래밍 도서 (4)
      • 클린 코드(로버트 마틴) (4)
    • 코딩 테스트 (3)
      • 프로그래머스 (3)
    • 회고 (0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pandas#dataframe
  • 우분투#ubuntu#mysql#mysql설치#mysql오류

최근 댓글

최근 글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내 관리 화면으로 이동
나른한 찰리
Ubuntu 서버 종료 및 재시작 절차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

단축키

내 블로그
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Q
Q
새 글 쓰기
W
W

블로그 게시글
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E
E
댓글 영역으로 이동
C
C

모든 영역

이 페이지의 URL 복사
S
S
맨 위로 이동
T
T
티스토리 홈 이동
H
H
단축키 안내
Shift + /
⇧ + /
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